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재명 상속세 개편 간단 정리

by 에릭e 2025. 2. 16.

 

이재명 상속세 개편 정리

최근 이재명 대표가 제안한 상속세 개편안이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개편의 핵심 내용과 논쟁점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상속세 & 증여세란?

상속세

고인이 남긴 재산을 상속받을 때 내는 세금입니다.

  • 목적: 정부 재정 확보, 부의 재분배
  • 과세 대상: 부동산, 금융자산 등
  • 세율: 누진세 방식 (재산이 많을수록 세율 증가)

증여세

타인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할 때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 과세 대상: 현금, 부동산, 주식 등
  • 면세 한도: 국가별 차이

이재명 대표의 상속세 개편안

  • 일괄 공제액: 5억 원 → 8억 원으로 상향
  • 배우자 상속 공제 한도: 5억 원 → 10억 원으로 증가
  • 면세 한도: 18억 원까지 확대

 

핵심 쟁점

1. 상속세 공제한도 상향

여당(국민의힘)

공제한도 상향과 최고세율 인하를 함께 추진

야당(민주당)

공제한도만 상향, 최고세율 인하는 반대

분석: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을 고려할 때 공제한도 상향은 필요하지만, 세율 조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2. 최고세율 조정

여당

현행 50% → 40%로 인하 주장

야당

'초부자 감세'라며 반대

분석: OECD 평균 대비 한국의 상속세율이 높은 편이나, 부의 대물림 방지를 위한 신중한 조정이 필요합니다.

3. 개정 방식

여당

전체적인 세제 개편 추진

야당

공제한도 조정만 우선

분석: 세율 조정과 공제 확대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단계적 개정이 바람직합니다.

결론

상속세 개편은 단순한 감세 문제가 아니라 경제적 현실과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정부와 국회는 충분한 논의를 거쳐 실질적인 해법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